'구글'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1.07.22 괘씸죄보다는 포용을-새로운 아이디어는 어떻게 살아남나?
  2. 2011.07.22 살찐 조직은 어떤 증상을 보이나?

괘씸죄보다는 포용을-새로운 아이디어는 어떻게 살아남나?

변화 2011. 7. 22. 18:29
괘씸죄보다는 포용을-새로운 아이디어는 어떻게 살아남나?(2007-10-29)

-Mashup의 시작과 구글의 생각-

Mash up이란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등 공개된 웹 플랫폼을 유기적으로 섞어서 새로운 개념의 융합(convergence)서비스를 반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원래 매쉬업은 감자따위를 으깨서 섞는다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그러나 음악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원래 DJ 들이 음악을 연주하다가 분위기에 맞게 여러가지 곡들을 섞어서 새로운 음악을 만드는 것을 뜻하였다. 하지만 인터넷과 관련해서 사용되는 매쉬없은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합쳐서 새로운 서비스 혹은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쉽게말해 이미 만들어서 제공되고 있는 여러 서비스들 중 서로 연결할 경우 가치가 상승하는 서비스를 연결하여 좀더 유용한 정보나 편리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구글의 지도와 야후의 부동산 정보를 융합하여 부동산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야후의 날씨정보와 구글의 지도를 통합하여 유대전화에서 볼 수 있도록 한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매쉬업은 교류과 개방의 원칙이라는 web2.0의 정신을 대표하는 하나의 경향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야후에서 야후 파이프(pipes.yahoo.com)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yahoo에서 제공하고 있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서비스를 드래그앤 드롭방식으로 서로 연결하여 새로운 RSS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사실 RSS만 해도 RSS리더를 이용하여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내용을 편리하게 구독할 수 있어서 좋았는데 이것을 입맛대로 조합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니 정말 황공할 지경이다. 이처럼 기존 서비스의 개방된 소스를 조합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창조하는 것은 개방과 공유를 전제로 하고 있는  Web 2.0시대에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은 이미 구축되어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추가비용의 발생이 제한적인 것이 장점이다. 

그렇다면 이런 Mash up서비스를 처음 만들어 낸 곳은 어디일까? 머리에 떠오르는 것이 이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큰 인터넷 기업들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서비스를 만들어 낸 사람은 드림웍스를 위해 일하고 있던 Paul Rademacher였다. 그는 당시 자신의 집을 구해야 하지민 직접 그곳에 가 볼 시간이 없는 개인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처음 그는  부동산을 중계하는 Craigslist.com에서 자신이 살 집을 찾고 있던 중 한가지 생각이 문득 떠올랐다. 당시 아주 상세한 지도정보를 제공해 주는 구글맵과 Craigslist.com의 정보를 결합하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였다. 그 아이디어를 기초로 당시 공개되어 있지 않았던 Googlemap을 해킹하였고 그것을 Carigslist.com의 정보와 연결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등장한 것이 진정한 의미의 Web 2.0 프로그램이라고 불릴 만한 HousingMap.com이였다. 이렇게 시작한 HousingMap.com은 인터넷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기시작하였다. 그러나 더 놀라운 것은 구글의 반응이였다. 자신의 자산이 지도정보를 해킹당한 구글은 Rademacher를 고소하기는 커녕 그를 구글에 채용하였다. 그를 통하여 수많은 유용한 정보가 지도 정보가 결합될 수 있음을 알게된 구글은 공개적으로 GoogleMap의 API를 공개하였고 이후 이를 이용하여 자신이 사진을 찍은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수많은 서비스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두가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구글이 보여준 구글다운 태도이다. 자신의 재산인 사이트를 해킹한 사람을 처벌하기 보다는 그 사람이 가진 창의적 재능을 높이사서 그를 자신의 회사로 끌어 들이는 인재관리의 능력과  자신의 지적재산을 공개할 경우 더욱 유용한 서비스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순간 그것을 공개할 용기를 가졌다는 것이다. 두가지 모두 결코 쉽게 취하기 힘든 행동이다. 마약 구글이 그를 고소하고 자신의 지적 재산을 지키기위해서 모든 것을 폐쇄적으로 운영했다면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둘째, 모든 개선과 개혁은 출발점은 개인적인 문제지각으로 부터 출발한다는 점이다. 만약 Rademacher가 개인적인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고 또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Mash up 이 주는 편리함을 지금보다 훨씬 더 뒤에 가서야 맛볼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직장에서 개인문제의 해결을 반드시 부정적인 시각으로 볼 필요는 없는 것이다.

:

살찐 조직은 어떤 증상을 보이나?

생활과 심리학 2011. 7. 22. 17:42
살찐 조직은 어떤 증상을 보이나?(2007-01-25)

 인터넷을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Google에 대하여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등장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다른 검색엔진을 압도하고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검색 부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다. 어떤 사람은 구글이 과대평가 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구글은 이 분야에서 앞서가는 기업이며 신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렇다면 구글이 성공한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이유들이 가능하겠지만 구글이 검색엔진으로 성공한 가장 큰 이유는 사용자들에게 구글 자체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데서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을 제공하는 많은 포털 사이트 즉 야후, 네이버, 엠파스 같은 곳은 가능한 인터넷 사용자를 자사의 사이트에 머물러 있도록 하려 한다. 이들은 사용자들에게 잡다한 모든 것을 제공해 줄 때 사용자는 사이트의 유용성을 느끼고 그 곳을 계속 사용할 것이라 믿는 것이다. 그러나 검색엔진의 사용자들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장 빠르게 찾고자 할 뿐이다. 구글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이 무엇인지를 알았고 그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사용자에게 필요이상으로 자신의 존재를 느끼게 하지 않은 것이다. 물론 구글 역시 Picasa, Youtube와 같은 기업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자사의 컨텐츠를 증가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가장 빠르게 고객이 원하는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제공해 준다는 본래의 목적에 가장 출실한 회사인 것만은 분명하다.

 

 

 

인공신장도 마찬가지다.

정부 역시 이런 문제에 대해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조직은 몸집을 불리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나의 개인적 경험만으로 볼 때도 정부 역시 이런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일이 늘어나기 때문에 더 큰 조직이 필요하기도 할 것이지만 다른 이유도 있는 것 같다. 조직원의 경력관리의 문제와 조직이 커져야 없어지지 않고 살아남을 것이라는 생각도 한 가지 이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조직이 가지고 있던 본래의 고유한 기능이다. 사람이 살이 찌면 과거에 잘 하던 뜀박질이 어려워진다던가 혹은 계단을 잘 오르지 못하게 되는 것 처럼 조직이 비대해 지면 과거에 잘 하던 일 들이 잘 이루어 지지 않게 된다. 작은 조직이였을 때는 민원인의 요구에 즉시적으로 대응하고 내부에서의 제안도 모든 조직으로 쉽게 검토되고 전파된다. 그러나 조직이 커지면 조직에 요구하는 것들이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고 내부의 제안들은 제안으로만 끝나고 이런 일들은 조직원들에게 부정적 학습효과를 가져온다. 다시 말해 조직원들은 외부요구에 대응하지 않고 내부의 움직임을 무시하는 것을 학습하며 그것은 자꾸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과거의 작은 조직일 때 쉽게 할 수 있었던 일이 큰 조직일 때 잘 할 수 없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문제가 일어난 것이다. 이처럼 조직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느낄 때 리더는 감사반 같이 과거에는 없었던 기능을 만들어 조직의 구성원들이 아침에 일찍 오는지, 점심때 제시간을 지키는지, 그리고 근무태도는 똑바른지를 감시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기능을 하는 조직이 필요해 졌다는 것은 그만큼 조직에 불필요한 지방과 노폐물이 쌓여서 스스로 자정하는 능력이 떨어졌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비만인 사람이 스스로 호흡할 수 없어서 인공호흡기를 달고 사는 것과 같다(인공호흡기를 쓰려면 또 비용이 들어간다).

 조직이 아무리 크다고 해도 구성원 개개인이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모든 조직이 그것을 공유하고 있다면 그것은 결코 큰 조직이 아니다. 또한 조직이 생긴 본래의 목적을 분명히 실행할 수 있다면 그것은 결코 비대한 조직이 아니다. 신체의 비대화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근육의 성장이 아니라 불필요한 지방과 노폐물이 문제가 되듯이 조직에서도 필요한 조직과 인원이 늘어나느냐 나지 않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조직이 해야 할 일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로 평가해 보아야 할 것이다.

얼마 전 구글의 임원 중 한명인 Chris Sacca는 자신의 공식 블로그에 쓴 글에서 구글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MS와 같은 거대기업이 아니라 "구글이 큰 회사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큰 회사가 되어 관료화 될 경우 구글이 가지고 있던 빠른 의사결정과정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의 수용이라는 혁신성에 장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구글이 강한 이유는 이런 고민을 하는 임원들이 있고 또 구글이 가진 철학에 동의하는 구성원이 있기 때문이 이 아닐까?


: